오랜만에 알고리즘 문제 푸려니까 죽을 맛이네요
영역 구하기 성공

문제
눈금의 간격이 1인 M×N(M, N≤100) 크기의 모눈종이가 있다. 이 모눈종이 위에 눈금에 맞추어 K개의 직사각형을 그릴 때, 이들 K개의 직사각형의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M=5, N=7 인 모눈종이 위에 <그림 1>과 같이 직사각형 3개를 그렸다면, 그 나머지 영역은 <그림 2>와 같이 3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그림 2>와 같이 분리된 세 영역의 넓이는 각각 1, 7, 13이 된다.
M, N과 K 그리고 K개의 직사각형의 좌표가 주어질 때, K개의 직사각형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는지, 그리고 분리된 각 영역의 넓이가 얼마인지를 구하여 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M과 N,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M, N,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 y좌표값과 오른쪽 위 꼭짓점의 x, y좌표값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모눈종이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는 (0,0)이고, 오른쪽 위 꼭짓점의 좌표는(N, M)이다. 입력되는 K개의 직사각형들이 모눈종이 전체를 채우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분리되어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각 영역의 넓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7 3
0 2 4 4
1 1 2 5
4 0 6 2
예제 출력 1 복사
3
1 7 13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p_2583 {
public static int inputBoard[][];
public static boolean visited[][];
public static int boardX;
public static int boardY;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f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input = bf.readLine().split(" ");
boardX = Integer.parseInt(input[0]);
boardY = Integer.parseInt(input[1]);
int boxNumber = Integer.parseInt(input[2]);
inputBoard = new int[boardX][boardY];
visited = new boolean[boardX][boardY];
int[][] boxPosition = new int[boxNumber][4];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boxNumber; i++) {
String[] inputPosition = bf.readLine().split(" ");
for (int j = 0; j < 4; j++) {
boxPosition[i][j] = Integer.parseInt(inputPosition[j]);
}
}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boxPosition));
for (int repeat = 0; repeat < boxNumber; repeat++) {
for (int x = boxPosition[repeat][1]; x < boxPosition[repeat][3]; x++) {
//첫번째 4각형의 x값만큼 움직임
for (int y = boxPosition[repeat][0]; y < boxPosition[repeat][2]; y++) {
inputBoard[x][y] = 1;
}
}
}
for (int i = 0; i < boardX; i++) {
for (int j = 0; j < boardY; j++) {
if (inputBoard[i][j] == 0 && visited[i][j] == false) {
list.add(dfs(i, j));
}
}
}
Collections.sort(list);
System.out.println(list.size());
for (int item : list) {
System.out.print(item + " ");
}
}
public static int dfs(int x, int y) {
if (!canMove(x, y) || inputBoard[x][y] == 1 || visited[x][y]) {
return 0;
}
visited[x][y] = true;
int size = 1;
size += dfs(x - 1, y);
size += dfs(x + 1, y);
size += dfs(x, y - 1);
size += dfs(x, y + 1);
return size;
}
public static boolean canMove(int x, int y) {
return boardX > x && boardY > y && x >= 0 && y >= 0;
}
}
dfs를 통해서 풀 수 있는 간단한 영역 문제인 것 같습니다.
중간에 2차원 배열이 잘 들어갔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boxPosition));
를 사용했는데 원래 그냥 boxPosition을 출력하면 배열이 안 나오고 주소값이 나오게 되기 때문입니다.
System.out.println(boxPosition);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boxPosition));
위의 주소값이 출력되는 부분이 deepToString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고
아래 2차원배열이 잘 출력되는 부분이 deepToString을 사용한 것입니다.
물론 2중 for문을 직접 사용해서 쓰는 게 개발자가 문제 푸는 입장에서 바로 이해가 되지만 이번처럼 간단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deepToString을 사용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이번 문제를 풀면서 주의하시면 좋은 점
if (!canMove(x, y) || inputBoard[x][y] == 1 || visited[x][y]) {
return 0;
}
Dfs의 종료조건을 설정해 주실 때 || 피연산자 들 사이의 순서도 중요합니다.
만약 visited [x][y]가 가장 앞 순번이 된다면 size+=dfs(x-1, y) 부분에서 배열범위 초과 에러가 발생합니다.
에러뿐만 아니라 || 연산은 순서대로 진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기 위해 우선순위가 높은 연산부터 수행하도록 하시면 더욱 좋은 코드가 될 것 같습니다.
코딩테스트를 대비하기 위해 문제 푼 지 너무 오래됐어서 문제 읽고 이해하는 것만 시간이 너무 걸리는 것 같습니다. ㅠㅠ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들 파이팅!
'Knowled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0) | 2023.12.07 |
---|---|
[백준] 1931번: 회의실 배정 JAVA 코드, Greedy (0) | 2023.12.01 |
[Java] Stream 중간연산 map에 대하여 (1) | 2023.11.01 |
[코드 컨벤션] 3.3.4 클래스에는 static import를 하지 않는다. (0) | 2023.10.21 |
[백준] 1655번: 가운데를 말해요 JAVA 코드, 우선 순위 큐 (3)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