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4자리 7 세그먼트와 써미스터를 이용하여 써미스터의 온도를 즉각적으로 받아 세그먼트에 표시하는 것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4자리까지 쓸 필요는 없기에 뒤에 2자리만 사용하여 만들어보겠습니다. 먼저 회로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회로도

뒤에 2자리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D2와 D5를 사용하지 않을것이며 13번에 꽂는 핀을 5번에 꽂고 2번은 아예 사용하지 않으면 됩니다.

100k 저항을 사용하면 되며 이제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코드
#include <FND.h>
#include <Thermistor.h>
FND fnd;
Thermistor temp(A0);
/*
* 7세그먼트와 써미스터를 이용한
* 온도 표시 시스템
*/
void setup() {
Serial.begin(9600);
byte numDigits = 2;
byte digitPins[] = {6, 5};
byte segmentPins[] = {3, 7, 11, 9, 8, 4, 12, 10};
fnd.begin( COMMON_ANODE, numDigits, digitPins, segmentPins);
fnd.setBrightness(90);
}
void loop() {
int temperature = temp.getTemp();
unsigned long timer = millis();
int deciSeconds = 0;
if (millis() >= timer) {
timer += 1000;
fnd.setNumber(temperature, 0);
}
fnd.refreshDisplay();
}
갑사합니다.
'IoT >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조도 센서, 도트매트릭스(8x8) (4) | 2022.07.02 |
---|---|
[아두이노] DC모터, 조이스틱 (7) | 2022.06.08 |
[아두이노] RGB LED, 가변저항, 스위치 (0) | 2022.06.07 |
이번에는 4자리 7 세그먼트와 써미스터를 이용하여 써미스터의 온도를 즉각적으로 받아 세그먼트에 표시하는 것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4자리까지 쓸 필요는 없기에 뒤에 2자리만 사용하여 만들어보겠습니다. 먼저 회로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회로도

뒤에 2자리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D2와 D5를 사용하지 않을것이며 13번에 꽂는 핀을 5번에 꽂고 2번은 아예 사용하지 않으면 됩니다.

100k 저항을 사용하면 되며 이제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코드
#include <FND.h>
#include <Thermistor.h>
FND fnd;
Thermistor temp(A0);
/*
* 7세그먼트와 써미스터를 이용한
* 온도 표시 시스템
*/
void setup() {
Serial.begin(9600);
byte numDigits = 2;
byte digitPins[] = {6, 5};
byte segmentPins[] = {3, 7, 11, 9, 8, 4, 12, 10};
fnd.begin( COMMON_ANODE, numDigits, digitPins, segmentPins);
fnd.setBrightness(90);
}
void loop() {
int temperature = temp.getTemp();
unsigned long timer = millis();
int deciSeconds = 0;
if (millis() >= timer) {
timer += 1000;
fnd.setNumber(temperature, 0);
}
fnd.refreshDisplay();
}
갑사합니다.
'IoT >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조도 센서, 도트매트릭스(8x8) (4) | 2022.07.02 |
---|---|
[아두이노] DC모터, 조이스틱 (7) | 2022.06.08 |
[아두이노] RGB LED, 가변저항, 스위치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