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 편"을 듣고 SOLID 원칙을 필기한 글을 포스팅합니다.
차후,, 그림도 넣고 업데이트 하는걸로..
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정리합니다.
- SRP :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OCP :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itution principle)
-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DIP : 의존관계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위와 같은 SOLID 원칙은 Spring을 특정하여 만든 원칙이 아니며, 특정 기술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나 프레임워크에 SOLID 원칙을 적용가능합니다.
SRP :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하나의 책임이라는 것은 모호하다.
- 클 수 있고, 작을 수 있다.
-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
- 중요한 기준은 변경이다. 변경이 있을 때 파급 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른 것
- 예) UI 변경, 객체의 생성과 사용을 분리
OCP :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 이런 거짓말 같은 말이? 확장을 하려면, 당연히 기존 코드를 변경?
- 다형성을 활용해보자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새로운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서 새로운 기능을 구현
- 지금까지 배운 역할과 구현의 분리를 생각해 보자
문제점
- MemberService 클라이언트가 구현 클래스를 직접 선택
- MemberRepository m = new MemoryMemberRepository(); // 기존코드
- MemberRepository m = new JdbcMemberRepository(); // 변경코드
- 구현 객체를 변경하려면 클라잉너트 코드를 변경해야 한다.
- 분명 다형성을 사용했지만 OCP 원칙을 지킬 수 없다.
-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 객체를 생성하고, 연관관계를 맺어주는 별도의 조립, 설정자가 필요하다. →이게 스프링 컨테이너가 해주는 역할이고 이래서 DI와 ioc 컨테이너가 필요한 것이다 이게 아니면 OCP를 충족시켜 줄 수가 없음 그러므로 나중에 이해해라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itution principle)
-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 다형성에서 하위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규약을 다 지켜야 한다는 것, 다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원칙,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는 믿고 사용하려면, 이 원칙이 필요하다.
- 단순히 컴파일에 성공하는 것을 넘어서는 이야기
- ex) 자동차 인터페이스의 엑셀은 앞으로 가라는 기능, 뒤로 가게 구현하면 LSP위반 느리더라도 앞으로 가야 함.
단순히 컴파일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으로 보장을 해줘야 한다는 이야기다.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
- 자동차 인터페이스 → 운전 인터페이스, 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
- 사용자 클라이언트 → 운전자 클라이언트, 정비사 클라이언트로 분리
- 분리하면 정비 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해도 운전자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 대체 가능성이 높아진다.
DIP : 의존관계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 된다.” 의존성 주입은 이 원칙을 따르는 방법 중 하나다.
- 쉽게 이야기해서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 말고,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라는 뜻
- 앞에서 이야기한 역할(Role)에 의존하게 해야 한다는 것과 같다. 객체 세상도 클라이언트가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 유연하게 구현체를 변경할 수 있다! 구현체에 의존하게 되면 변경이 아주 어려워진다.
- 의존한다? == 내가 저 코드를 알고 있다 코드끼리 연결되어 있으면 다 의존이라고 생각하세요
- 그런데 OCP에서 설명한 MemberService는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만, 구현 클래스도 동시에 의존한다.
- MemberService 클라이언트가 구현 클래스를 직접 선택
- MemberRepository m = new MemoryMemberRepository();
- DIP위반
정리
- 객체 지향의 핵심은 다형성
- 다형성 만으로는 쉽게 부품을 갈아 끼우듯이 개발할 수 없다.
- 다형성 만으로는 구현 객체를 변경할 때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된다.
- 다형성 만으로는 OCP, DIP를 지킬 수 없다.
- 뭔가 더 필요하다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의존 관계에 있는 연관된 데이터 삭제 처리: Spring과 JPA 및 Query (0) | 2024.01.20 |
---|---|
[SpringBoot/Error] Required URI template variable 'id' for method parameter type int is not present 해결 (0) | 2024.01.19 |
[Spring Boot] application.yml 내용 secret으로 관리하기 (0) | 2023.09.02 |
[SpringBoot] mysql 연동하는 방법 (1) | 2023.05.25 |
[SpringBoot/Error] version 3.0 OAuth2.0 카카오 로그인 오류 (2) | 2023.05.24 |